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design pattern
- kotlin
- github
- SOLID
- 리드미
- 깃허브
- Di
- git
- Class.class
- Constraint Layout
- 운영체제
- 마크다운
- coroutine flow
- JUnit
- markdown
- LiveData
- Compose
- Spring Boot
- JetPack
- OS
- test
- android study jam
- Android
- O.S
- spring
- 데드락
- readme
- 다단계 큐
- 더티비트
- Data Binding
Archives
- Today
- Total
차지
[Compose] Phases 본문
프레임의 3가지 단계
- Composition → Layout → Drawing
1. Composition
- Composable이 생성되는 단계입니다.
- 생성이 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합니다.
2. Layout
- measurement, placement 두 단계가 존재합니다.
- 재배치를 하더라도 재측정을 하지는 않습니다.
3. Drawing
- Canvas를 호출하거나 draw관련 메서드를 호출하면 실행합니다.
State 읽기 최적화
Box {
val listState = rememberLazyListState()
Image(
// Non-optimal implementation!
Modifier.offset(
with(LocalDensity.current) {
// State read of firstVisibleItemScrollOffset in composition
(listState.firstVisibleItemScrollOffset / 2).toDp()
}
)
)
LazyColumn(state = listState)
}
- 위 코드에서는 State객체인 firstVisibleItemScrollOffset이 수시로 변경됩니다.
- Box 내부에서 호출되고 있으므로 Box 자체가 재호출됩니다.
Box {
val listState = rememberLazyListState()
Image(
Modifier.offset {
// State read of firstVisibleItemScrollOffset in Layout
IntOffset(x = 0, y = listState.firstVisibleItemScrollOffset / 2)
}
)
LazyColumn(state = listState)
}
- 위 코드에서는 변경되는 값을 람다로 전달합니다.
- Modifier에게 람다로 전달하는 블록은 레이아웃의 배치단계에서 호출됩니다.
그 밖에도 단계를 거스르는 방식의 호출 방법은 불필요한 반복을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.
'Android > 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ndroid] Two - way Data Binding (0) | 2022.01.19 |
---|---|
[DI] Android에서의 DI 첫걸음 (0) | 2022.01.07 |
[Compose] Side Effects (0) | 2021.11.15 |
[Compose] Compose로 Migration하기 (0) | 2021.11.15 |
[Android] Data binding (0) | 2021.10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