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markdown
- 데드락
- 리드미
- android study jam
- 다단계 큐
- 더티비트
- Constraint Layout
- Data Binding
- Spring Boot
- Di
- LiveData
- OS
- JetPack
- readme
- kotlin
- JUnit
- test
- design pattern
- Compose
- 깃허브
- O.S
- github
- SOLID
- 마크다운
- Android
- 운영체제
- git
- spring
- Class.class
- coroutine flow
- Today
- Total
목록SOLID (2)
차지
SOLID SRP, OCP 앞서 소개한 SRP, OCP에 이어 L에 해당하는 LSP를 소개하겠습니다. 3. LSP: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리스코프 치환 원칙입니다. 부모를 자식으로 치환하는 데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. LSP는 예기치 못한 수정을 줄이기 위한 원칙입니다. LSP를 위반하는 유명한 예시인 직사각형 & 정사각형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. 정사각형은 네 변이 직각이므로 직사각형에 속합니다. 따라서 직사각형이 부모이고 정사각형이 자식인 객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. // 직사각형은 네 변이 직각이므로 한 변의 길이를 수정하면 평행한 한 변의 길이가 함께 수정됩니다. class 직사각형 { private var width = 0 private var heigh..
SOLID SOLID 원칙은 5가지 객체지향 설계 원칙의 준말입니다. SOLID 원칙을 준수할 때 가장 큰 장점은 유지보수에 용이하다는 점입니다. 이 글에서는 SRP, OCP 두 원칙을 소개합니다. 코드는 Kotlin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fun은 함수, val은 변수입니다. 1.SRP: Single Responibility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입니다.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이며, 한 객체는 한 책임만 가져야한다는 원칙입니다. 간단한 예시로 함수를 동사로 작성하면 알 수 있습니다. 고양이가 걸으면서 동시에 밥을 먹더라도 둘은 엄연히 다른 기능입니다. class Cat { val leg = 4 // SRP를 고려하지 않음 fun walkAndEatAndPrintLeg() { print("w..